기업 개요
동국제강은 철강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철강 기업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봉형강, 후판, 컬러강판, 도금강판, 냉연강판 등이 있습니다. 철스크랩을 주 원재료로 하여 다양한 철강 제품을 생산하며, 국내 철강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가 분석
- 현재 주가: 9,800원
- 전일 대비: +0.51%
- 시가총액: 약 5,085억 원
- 발행 주식수: 약 51,878,000주
- 외국인 보유비중: 5.41%
- 장중 거래량: 152,000주
- 매출액: 26,321억 원 (2023년 기준)
- EPS(주당순이익): 3,115원
- 주식 배당수익률: 2.10%
- 주주 현황: 주요 주주는 동국홀딩스, 동국씨엠 등입니다
재무 분석
동국제강은 2023년 기준으로 자산총계가 3조 5,318억 원이며, 부채총계는 1조 8,104억 원입니다.
자본총계는 1조 7,213억 원으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매출액은 2조 6,321억 원으로 철강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동사의 경쟁력 있는 생산력과 효율적인 경영 덕분입니다.
특히, 국내 매출이 전체 매출의 93.56%를 차지하여 내수 시장에 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차트 분석
동국제강의 주가는 최근 몇 년간 등락을 반복하면서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 변동성 지표로는 최대 낙폭(MDD)이 중요한데, 2020년 COVID-19 팬데믹
당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후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술적 분석 지표를 통해 이동평균선과 피보나치 되돌림 등
여러 지표를 참고하여 주가의 저항선과 지지선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근 주가 흐름은 안정적이며,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치 분석
동국제강의 PER(주가수익비율)은 약 3.3배로, 철강 업종 평균보다 낮은 편입니다.
이는 동사의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또한, 높은 배당수익률(2.10%)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기업의 경영 효율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인적분할을 통해 핵심 역량을 강화하고,
경영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주식 결론
동국제강은 안정적인 재무 구조와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으며,
철강 시장에서의 강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긍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현재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배당수익률 또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동국제강은 유망한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철강 산업의 특성상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하므로 시장 상황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